Kantar Worldpanel - www.kantarworldpanel.com

Asia Pulse 2024 Q4

2024년 4분기 한국,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총 11개 아시아 국가들의 FMCG 시장 트렌드 및 채널 카테고리별 트렌드를 담고 있는 리포트를 발표했습니다. (영문)

Download Report

아시아 뷰티 트렌드 2022

인플레이션 시대의 뷰티 쇼퍼 행동 파악에 대한 웨비나를 9월 21일에 진행합니다.

Learn more

Who Cares? Who Does? 2022

해당 리포트는 실제 구매 행동에 대한 데이터로 지속 가능성을 통해 경쟁 우위를 창출하기 위해 다양한 에코 세그먼트의 형식, 소매업체 및 브랜드 성과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영문)

Access the Report

Latest News

  • 아시아 주요 7개 뷰티 마켓의 더마 화장품 시장 동향 보고서

    아시아 주요 7개 뷰티 마켓의 더마 화장품 시장 동향 보고서

    19/11/2024
    스킨케어 트렌드를 주도하는 아시아 더마 화장품 시장의 현황과 기회요인 파악을 위한 효용 높은 분석 제공

    자세히 보기

  • 미국 뷰티 시장 진출 전 반드시 알아야 할 10가지 특징

    미국 뷰티 시장 진출 전 반드시 알아야 할 10가지 특징

    20/02/2024
    뷰티 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다
    :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해 기억해야 할 10가지 포인트

    자세히 보기

  • 칸타 월드패널 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의 선택 Part2. 메이크업

    칸타 월드패널 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의 선택 Part2. 메이크업

    07/11/2023
    20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가 많이 찾은 색조화장품 브랜드 순위를 발표합니다.

    자세히 보기

  • 칸타 월드패널 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의 선택 Part1. 스킨케어

    칸타 월드패널 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의 선택 Part1. 스킨케어

    17/10/2023
    2023년 상반기 연령별 소비자가 많이 찾은 기초화장품 기능/브랜드 순위를 발표합니다.

    자세히 보기

  • 작지만 큰 움직임, 클린/비건 뷰티 구매자의 이해

    작지만 큰 움직임, 클린/비건 뷰티 구매자의 이해

    23/08/2023
    클린/비건 뷰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매자의 특성을 함께 탐색해 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 인식과 구매 측면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여성 스킨케어 트렌드 : 다중적 고민, 하나의 솔루션

    인식과 구매 측면에서 바라본 대한민국 여성 스킨케어 트렌드  : 다중적 고민, 하나의 솔루션

    25/07/2023
    엔데믹의 시작을 알린 시기, 소비자의 스킨케어 구매 행태에 큰 영향을 미친 스킨케어 고민과 이를 위해 구매한 스킨케어 베네핏의 핵심적인 특징을 탐색해 보았습니다.

    자세히 보기

Trend and News | Insight for Your Brand

  • 15/01/2025 - Retail Talk

    C커머스가 국내 소비재 시장에 미치는 영향


    최근 몇 년 사이 중국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한국시장에 연이어 진출하며 적극적인 마케팅과 함께 공세 수위를 높임에 따라 업계는 이들 기업의 행보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차이나(China)의 앞 글자를 따 'C커머스'라고 통칭하는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의 대표주자는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입니다. 이 중 알리익스프레스가 2018년 가장 먼저 한국시장에 진출해 터를 닦았고, 2023년 7월 테무, 2024년 6월 쉬인이 연이어 진출했어요.


    중국의 대규모 생산 인프라를 기반으로 초저가 전략을 전개하는 이들 C커머스가 2024년 국내 소비재 시장에 미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칸타 월드패널의 구매 데이터에 기반에 분석해봤습니다. 

    상세보기 & PDF 다운로드
  • 18/12/2024 - Retail Talk

    티메프 사태가 소비재 시장에 끼친 영향


    지난 7월에 발생한 '티몬'과 '위메프'의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가 5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은 채 업계에 깊은 상흔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커머스 업계는 물론, 유통 생태계 전체에 큰 충격을 줬던 티메프 사태가 소비재 시장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칸타 월드패널의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했습니다. 

    상세보기 & PDF 다운로드
  • 30/10/2024 - Retail Talk

    2024 신선식품 구매행태


    신선식품, 즉 농수축산품은 소비자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소비재입니다. 건강과 직결되는 만큼 요즘 같은 소비 긴축 시기에도 선도 높고 품질 좋은 상품에 대해서는 기꺼이 프리미엄을 지불하는 카테고리이기도 합니다. 소매기업 입장에서도 신선식품은 타사와의 차별화를 위한 핵심 전략상품군입니다. 온라인 채널이 급속히 성장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채널이 8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이를 수성하려는 오프라인 기업들과 빼앗으려는 온라인 기업들 간의 치열한 점유율 싸움이 전개되고 있죠.


    칸타 월드패널 사업부에서 고객들의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올 상반기 신선식품 구매패턴을 분석해 보았는데요. 그 결과, 신선식품은 각 기업의 객단가, 구매횟수, 고객 충성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올 상반기 소비자들의 신선식품 구매행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고, 소매기업별 고객들의 구매행동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상세보기 & PDF 다운로드
  • 22/05/2024 - Retail Talk

    1인 가구 구매행태 분석


    1인 가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4.5%입니다. (2022년 기준)


    가구 분화는 소비재 시장에 불리하게 작용해요. 상대적으로 다인 가구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높기 때문에 식품 및 일상 생활용품에 지출하는 금액을 줄이려는 경향이 강하죠. 실제 1인 가구가 전체 지출하는 금액에서 주거, 수도, 광열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7.6%로, 전체 가구 평균치인 11.5%에 비해 6.1%P나 높습니다 (통계청 '통계로 보는 1인가구'). 반면 식품 및 음료에 지출하는 금액의 비중은 2.2%P 낮습니다. 

    상세보기 & PDF 다운로드
  • 31/01/2024 - Retail Talk

    뉴 시니어의 등장


    2년 후인 2026년, 우리나라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합니다. 초고령 사회란 인구 5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인 나라를 의미해요. 일본이 2005년, 독일은 2009년, 프랑스는 2018년에 각각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죠.


    기업은 늘 미래 고객에 관심을 둡니다. 시니어 세대는 최근 논의가 활발한 '잘파세대(10대~20대 중반)'와 함께 가까운 미래에 소비시장을 주도할 핵심 소비층이에요.


    시니어 세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한 시점, 글로벌 소비시장 분석기관 칸타(Kantar)가 실제 구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니어 세대의 구매행태를 분석했습니다. 

    상세보기 & PDF 다운로드